The History Education Association
진정한 역사와 역사교육을 모색하는 모임 / 역사와교육학회

논문검색


pISSN: 2093-5021

역사와 교육, Vol.37 (2023)
pp.9~35

DOI : 10.31968/hae.2023.11.37.9

1960~80년대 서울의 도시화와 초등교육환경 변화

박광명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이 글은 1960년대부터 80년 중반까지 서울의 도시화와 행정구역 확장에 따 른 초등교육환경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60년대 의 서울은 급격한 학령인구 증가와 ‘교실난’으로 인한 교육환경 악화가 가장 주요한 교육 현안이었다. 더불어 이러한 열악한 교육환경은 지속적인 산업화 와 도시화 과정속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였다. 1960~80년대 서울의 초등교육환경에 대한 기존의 편년사와 연구들은 과 밀학급 실태에 대해 사실 내용만을 나열하거나, 본격적인 분석을 시도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서울시의 교육제도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국민학교 교육환경에 대해서는 1950년대 당시와 1980년대 이후의 통계만으 로 분석이 진행된 결과이다. 한편으로 해당 시기의 교육환경을 모두가 경험 했기에, 누구나 알고 있는 것이라는 판단이 있으리라 짐작한다. 그렇기에 실 질적인 과밀학급 문제가 언급되지 않는, 대략 20여 년이 지난 시점에서 해당 시기의 자료와 내용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산업화 시기 대도시 서울의 교육환경 변화에 대한 기존의 통계 자료를 정리 및 분석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 에서 간단히 다루었던 60~80년대 국민학교 교육환경에 대한 분석에 초 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우선 서울의 도시화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이 러한 도시화에 따른 도시 인구 과밀화가 서울의 교육 여건 수요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울의 도시화는 전후의 급격한 인구 이동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도시계획을 바탕으로 한 개발은 60년대에 들어서야 가능했다. 교육환경 개선의 여론이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서 울의 도시계획에는 교실난으로 인한 과밀학급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대 책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였다. 결국 교육환경 측면에서, 한국의 ‘압축성 장’은 대도시 서울의 ‘압축교실’을 만들어냈다. 당시의 정부와 서울시의 재정 상황에서 이는 어쩌면 당연한 선택이었을 수도 있었다. 산업화와 도시화라는 압력 속에서 대도시 서울의 국민학교 교육환경은 열 악한 환경에 처해 있었다. 과밀학급 문제는 교원수와 교실수의 부족으로 기 인한 것이었다. 이는 또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도 영향을 주었다. 더 나아 가 교육환경 격차로도 이어졌다. 정부와 관계 당국 역시도 이에 대해 해결 방 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교실수 확보보다는 교원수의 증가를 통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후에는 가족계획정책이나 핵가족 사회로의 변화 등과 같은 자연적 학령인구 감소를 통해 해소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The Urbanization of Seoul and the Change of Elementary Education Environment from the 1960s to 1980s

Park, Kwang-myeo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elementary education environment due to the urbanization of Seoul and the expans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from the 1960s to the mid-1980s. In Seoul in the 1950s and 1960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issues were the rapid in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classroom difficulties(敎室難)." In addition, this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was a problem that must be solved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xisting annual history and studies on Seoul's elementary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1960s and 1980s did not list only the facts or attempt a full-scale analysis on the status of overcrowded classes. This focused on changes in the education system in Seoul, and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was conducted only with statistics from the 1950s and 1980s. On the one hand, since everyone has experienc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period, I guess there is a judgment that everyone knows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data and contents of the period at the point of approximately 20 years, when the actual overcrowded class problem is not mentione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rganize and analyze existing statistical data on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metropolitan Seoul during industrialization.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60s and 80s, which was briefly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he urbanization process in Seoul, and how the overcrowding of urban populations due to such urbanization has changed the demand for educational conditions in Seoul. The urbanization of Seoul was carried out through rapid population movement after the war, and development based on urban planning was only possible in the 1960s. Despite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eoul's urban planning did not properly reflect active measures to resolve overcrowded classes due to classroom difficulties. Eventually, in term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Korea's "compressed growth" created a "compressed classroom" in Seoul, a metropolitan city. This could have been a natural choice in the financial situation of the government and Seoul at the time. Under the pressure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 metropolitan city, was in a poor environment. The problem of overcrowded classes was caused by a lack of the number of teachers and classrooms. It also affected students' study achievement. Furthermore, it led to a gap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government and related authorities also tried to come up with a solution to this. However, rather than securing the number of classrooms, it was carried out in a way that increased the number of teachers, and since then, it has moved toward resolving through a decrease in the natural school-age population, such as family planning policies and changes to a nuclear family society.

Download PDF list